본문 바로가기
Body : 몸건강

BMI보다 정확한 WHR 최신 비만 척도 허리 엉덩이 둘레 비율 복부지방률

by 건강멘토 벨라 2024. 2. 11.

 

WHR은 BMI와 함께 적정 체중 유지 여부와 비만도의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로 활용될 뿐 아니라, 여러 성인병에 대한 위험인자가 있는지 알 수 있는 지수로 활용됩니다. 기존에 쓰이던 BMI 지수가 가지고 있는 여러 단점을 커버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WHR의 정의, 활용법, BMI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WHR 이란?

WHR은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말로 Waist-to-Hip Ratio의 약어입니다. 이는 인체 형태와 체지방 분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는 여성과 남성 각각에 대해 측정되며, 이 두 값의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WHR = 허리 둘레 / 엉덩이 둘레

 

 

 

 

 

WHR 기준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을 구한 값의 정상범위 기준은 성별에 따라 다르고 여러 기관 및 연구에서 다양한 범주를 제시하고 있으며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HR의 기준입니다.

 

여성

건강 범위: 0.85 이하
위험 범위: 0.85 초과

 

 

남성

건강 범위: 0.90 이하
위험 범위: 0.90 초과

 

 

 

 

 

 

WHR 수치 활용

WHR 수치는 성인병과 여러 중증 질병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과도한 WHR 수치는 복부비만의 위험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당뇨병, 대사 증후군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WHR의 수치는 개인의 연령, 근육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다른 건강 지표를 함께 참고하여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MI과 WHR 비교

 BMI 지수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한 값으로 나눈 수치를 말하며 이를 통해 저체중에서 비만까지 몸 상태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외에도 BMI점수가 적정 기준 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여러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의 발병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건강 관리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MI 지수의 경우 키가 평균치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경우 수치의 결과값이 제대로 된 지표를 제공해주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BMI 지수는 지방 분포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이러한 BMI 지수의 단점을 보완하여 건강한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WHR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즉, 두 사람이 BMI 지수가 같더라도 복부쪽 내장지방이 더 많이 쌓인 사람의 경우 여러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높을 수 있음에도 이를 반영하기 어렵지만, WHR 지수의 경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게됩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WHR이 BMI보다 특정 원인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더 잘 반영하는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BMI의 경우 특정 원인과 사망율과의 관계에서 BMI가 아주 높거나 낮으면 사망률이 올라갔으나, WHR 수치가 낮은 사람의 경우 사망률이 낮았으며 올라가는 경우에는 사망률 또한 올라가는 경향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WHR 수치가 낮을수록 사망률도 낮아짐에 따라 건강관리에 뚜렷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살펴본 건강 지표인 WHR은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율을 나타내며 우리 신체의 지방 분포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 지 알 수 는 유용한 수치입니다. 복부비만과의 관련성을 통해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과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데 기여하며, BMI와 함께 사용될 때 보다 정확하고 종합적인 건강 상태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 지표들을 참고한다면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한 개선으로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며 우리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길잡이 역할을 해 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