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nd : 마음건강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정의 정보 증상 원인 진단법 치료법 관리법

by 건강멘토 벨라 2024. 3. 1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정신적 외상을 겪은 개인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장애로, 극심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상적인 경험은 심리적으로 깊은 상처를 남기며, 그 영향은 단기적인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심리적, 정서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이해와 조기 대응은 PTSD 환자들에게 중요한 치유와 회복의 첫걸음이 될 수 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PTSD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의

 PTSD는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약어로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불립니다. 심리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정신 질환으로 과거 충격적거나 위험하고 공포스러운 경험을 한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쟁, 자연재해, 사고, 폭력적인 공격 등과 같은 경험은 PTSD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외상적 경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PTSD는 개인에게 반복적으로 엄청난 고통과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TSD 종류

일반적인 PTSD

이는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형태의 PTSD로, 외상적인 사건 이후에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회상, 피하, 과도한 경계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합적 PTSD(Complex PTSD)

이는 장기간 또는 반복되는 외상적인 경험에 노출된 개인들에게 나타납니다. 이는 주로 가정 폭력, 아동학대, 인신 매매, 장기간 전쟁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은 일반적인 PTSD에 해당하는 증상 외에도 자아 개념의 손상,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가선언적 폭력 등을 포함합니다.

 

정체성 PTSD(Identity-Based PTSD)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개인의 정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상적인 경험으로 인해 개인의 정체성, 신념, 가치관 등에 대한 심각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인관계 PTSD(Relationship-Based PTSD)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주로 대인관계에 집중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는 강제직업, 성 폭력, 가족 내 폭력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요 증상

외상적 경험에 대한 반복적인 회상

PTSD는 외상적 경험이 뇌에 깊게 박혀 있어 반복적 회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기억은 종종 외상적인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된 특정한 상황이나 자극에 의해 촉발됩니다.

 

 

회피적 성향

외상적 상황, 장소, 사람, 또는 활동을 피하려는 강한 욕구. 이는 외상적 상황에 대한 회피적 행동일 수 있습니다.

 

 

과도한 경계 및 과민 반응

쉽게 겁이 나거나 놀라며, 평소에는 사소한 것들에도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성

PTSD 환자들은 종종 악몽이나 과도한 경계성으로 인해 수면 중에 각성을 경험합니다. 외상적인 경험으로 인한 무의식적인 불안과 경계성은 수면 중에도 계속해서 존재하며, 이로 인해 환자들은 자주 깨어날 수 있습니다. 

 

 

불면증

외상적 경험으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이 수면을 방해하고, 불안감을 형성하여 겨우 잠이 들더라도 숙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악몽

PTSD 환자들은 충격적인 외상적인 사건을 겪은 후 악몽을 자주 경험합니다. 이러한 악몽은 외상적인 경험의 재현으로, 개인의 마음에 깊게 남아 있는 공포와 불안을 반영합니다. 

 

 

부정적인 변화

PTSD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상 후에 삶의 의미에 대한 혼란, 감정의 감소 또는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늘어나는 것이 있습니다.

 

 

 

 

 

PTSD 진단

전문가 진단

PTSD는 심리학 전문가나 정신건강 전문가가 진단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해당 전문가는 환자와 상담을 실시하고 증상을 평가하며, 표준화된 진단 도구 및 검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종종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기준을 따라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관련 증상이 다른 정신 질환이나 약물이 관련되어있지 않은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PTSD(후진성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포함됩니다.
-외상성 사건 경험 여부

-PTSD 관련 증상 경험 여부
-증상의 지속성(증상이 1개월 이상 있었던 경우)
-일상 기능 저하(증상으로 인해 일상 생활 기능 저하)

 

 

자가진단법(GIST 상담센터 제공)

https://gccdc.gist.ac.kr/gccdc/sub05_04.do


 

PTSD >

PTSD 우울 불안 스트레스 PTSD 자살사고 알코올중독 다음 문항들은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을 경험한 후 겪는 어려움에 관한 것입니다.당신을 가장 괴롭히는 사건을 생각하고, 그 사건과 관련하여

gccdc.gist.ac.kr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법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CBT는 PTSD 치료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이 치료법은 외상적 경험과 관련된 부정적인 생각, 감정 및 행동을 식별하고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CBT는 회상 및 재체험 증상을 관리하고, 외상적 상황에 대한 회피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노출치료(Exposure Therapy)

이 치료법은 외상적인 기억이나 상황에 직면하고 이에 대한 노출을 통해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환자는 안전한 환경에서 외상적인 기억이나 상황을 안전한 방식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노출치료는 회상 및 재체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약물 치료(Medication)

일부 환자들은 PTSD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로 SSRI(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또는 SNRI(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와 같은 안정제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우울증 및 과민 반응과 같은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그룹 치료(Group Therapy) 또는 가족 치료(Family Therapy)

치료를 받는 환자와 그들의 지지 체계를 포함한 그룹 또는 가족 치료는 PTSD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지지를 받고, 공유 경험을 통해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PTSD는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장애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PTSD는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될수록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고, 개인의 증상과 심각성에 맞게 조치를 취함으로써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TSD 환자들은 자신의 삶을 다시 살아가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